2026 시행 - 육아기 10시 출근제
정부가 2026년부터 전국 확대를 예고한 ‘육아기 10시 출근제’.
핵심은 간단하다.
하루 1시간 늦게 출근해도 임금 깎지 않겠다.
그 부담은 정부가 월 30만 원까지 보전.
대상은?
-
300인 미만 중소기업 근로자
-
자녀가 유아~초등학교 6학년인 부모
-
최대 1년간 사용 가능
광주에서 시작된 이 제도는
이제 전국의 중소기업까지 넓혀진다.
왜 이런 제도가 필요한가?
출산율은 역대 최저,
양육 부담은 여전히 부모 몫.
결국 출근길을 늦춰서라도
아이 등·하교를 챙길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해주자는 취지다.
정부 입장에선 ‘워라밸 정책’ + ‘출산 유도책’을
한 번에 푸는 일거양득 카드다.
반응은 엇갈린다
부모에겐 분명한 ‘희소식’
출근 전쟁을 겪는 부모 입장에서
이 제도는 말 그대로 숨 쉴 틈을 주는 정책이다.
예전보다 아이 챙기며 출근하는 일이
덜 힘들 수 있고, 임금 보전도 되니까.
하지만, 동료들은 다를 수 있다
근무시간이 줄면 누군가는 그 공백을 채워야 한다.
특히 아침 9~10시 사이 고객 응대나 회의 등
팀 단위 업무엔 공백이 생길 수밖에 없다.
그 공백이 반복되면
‘눈치 보며 제도 못 쓰는 분위기’가 만들어지거나,
반대로 ‘팀 불균형’이 터질 수 있다.
“같은 팀인데, 왜 나만 일찍 나와야 해?”
“애가 없으면 손해 보는 거냐?”
제도 자체보다 조직 내 수용도가 더 큰 과제일 수 있다.
기업도 고민 많다
정부가 월 30만 원씩 지원한다고는 하지만,
실제 기업이 감수해야 하는 건 더 많다.
-
업무량 조정
-
대체 인력 확보
-
생산성 하락
-
내부 불만 관리
특히 인력이 빡빡한 중소기업일수록
조용한 반발이 나올 가능성도 크다.
게다가 1시간 줄었지만
일은 그대로인 경우엔?
야근 or 재택근무로 되돌아올 수도 있다.
의견:
정책 방향은 맞다.
육아 때문에 경력 단절을 겪지 않게 하겠다는 취지.
이건 지금 당장 필요한 정책이다.
하지만 ‘제도=정책’이 아니다.
제도는 시스템이고,
정책은 문화를 바꿔야 한다.
출근 시간을 늦추는 것만으론 부족하다.
남은 팀원, 회사, 조직문화까지 고려한 설계가 병행돼야 한다.
그렇지 않으면 좋은 정책도 눈치 보느라 못 쓰게 된다.
정리하면
육아기 10시 출근제는 누군가에겐
“일-가정 양립의 현실적 해법”이고,
또 누군가에겐
“팀워크 붕괴의 시작점”일 수 있다.
-
자녀 돌봄 있는 근로자, 1시간 늦게 출근 가능
-
임금 그대로, 정부가 월 30만 원 보전
-
대상은 중소기업 근로자, 최대 1년간 사용 가능
결국 답은 하나.
“제도가 있으니 누려라”가 아니라“누구나 눈치 보지 않고 쓸 수 있게, 제도를 둘러싼 조직 설계가 바뀌어야 한다.”
그래서 나는 이렇게 본다.
“육아기 출근 유연성은 필수다.
하지만 회사가 안 변하면, ‘있어도 못 쓰는 제도’가 될 뿐이다.”